일반

과거 45년간 바둑랭킹 1위

CtrlC-V 2025. 6. 1. 17:26
반응형

🥇 바둑 세계 랭킹 1위, 지난 45년의 흐름 (1980~2025)

1980년부터 2025년까지, 바둑계를 지배한 세계 최강자들은 누구였을까요?
이 글에서는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랭킹 1~3위를 분석하고, 가장 오랫동안 정상을 지킨 기사들을 정리해봅니다.
특히

이창호

,

조훈현

,

이세돌

,

커제

,

신진서

등의 이름은 바둑 역사 그 자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 1위 연도별 정리 (1980~2025)

연도 1위 기사 국가
1980 가토 마사오 일본
1981~1982 조치훈 일본
1983~1990 조훈현 대한민국
1991~2006 이창호 대한민국
2007~2011 이세돌 대한민국
2012 박정환 대한민국
2013 스웨 중국
2014 박정환 대한민국
2015~2017 커제 중국
2018 박정환 대한민국
2019~2025 신진서 대한민국

📂 2위 · 3위 전체 순위 보기

👇 클릭해서 2·3위 전체 순위 보기

🥈 연도별 2위

연도 2위 기사
1980 조치훈
1981~1982 오타케 히데오
1983~1984 조치훈
1985~1986 고바야시 고이치
1987 조치훈
1988~1989 네웨이핑
1990 이창호
1991~1994 조훈현
1995~2002 조훈현
2003~2004 구리
2005 이세돌
2006 구리
2007~2008 구리
2009 구리
2010 커제
2011 박정환
2012 이세돌
2013 박정환
2014 스웨
2015~2017 박정환
2018 신진서
2019~2022 박정환
2023 박정환
2024~2025 왕싱하오

🥉 연도별 3위

연도 3위 기사
1980 오타케 히데오
1981~1982 조훈현
1983~1984 고바야시 고이치
1985~1986 조치훈
1987 가토 마사오
1988~1990 고바야시 고이치
1991~1992 고바야시 고이치
1993~1994 조치훈
1995~1996 마사오춘
1997~2000 유창혁
2001~2002 이세돌
2003~2006 이세돌
2007 씨에허
2008 이창호
2009~2010 몽제
2011 최철한
2012 스웨
2013 이세돌
2014 커제
2015 스웨
2016 미위팅
2017 신진서
2018~2023 커제
2024 커제
2025 딩하오

🧠 마무리 분석: 시대를 대표한 기사들은 누구?

  • 조훈현 – 1980년대 한국 바둑의 초석
  • 이창호 – 무려 16년간 정상 유지, '수읽기의 신'
  • 이세돌 – 공격성과 창의성으로 세계를 압도
  • 신진서 – 2019년 이후 현재까지 최정상

중국은 스웨, 커제, 딩하오, 왕싱하오 등으로 계속 도전장을 내밀고 있고, 일본은 1980년대 초반 이후 세계 최정상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 바둑 랭킹, 단순한 순위 그 이상

바둑 랭킹은 단지 몇 번 이겼는지를 따지는 수치가 아닙니다. 그 시대를 상징하는 바둑의 흐름, 그리고 전 세계 기사의 역학 관계가 담긴 데이터의 흐름이죠.

예를 들어, 이창호가 장기집권하던 90년대는 정확성과 안정감이 승부의 기준이었다면,
이세돌과 커제가 경쟁하던 2000년대 후반은 공격성과 창의성이 시대를 대표했죠.
그리고 신진서는 AI 이후의 바둑 해석 방식을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또한 2~3위까지 살펴보면, 겉으로 보이지 않는 정점 아래의 경쟁 구도도 흥미롭게 드러납니다.
특정 기사 한 명이 독주할 때도, 그 아래에선 매년 치열한 순위 경쟁이 벌어졌습니다.

결국, 바둑 랭킹은 **기록이 아니라 서사**입니다. 그 시대 바둑의 철학, 스타일, 대표성까지 모두 담고 있는 스토리죠.

 

여러분이 생각하는 역대 최고 기사는 누구인가요?
당신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