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 200만원부터 1000만원까지 세금 공제 후 실제 받는 돈은?

CtrlC-V 2025. 5. 29. 19:11
반응형

 

“월급 500인데 왜 통장에 420밖에 안 들어오죠?”
세금이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모르면, 내 돈인지 남의 돈인지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부터 200만원부터 1000만원까지! 진짜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을 낱낱이 파헤쳐드립니다.

✅ 이 글 하나로 알 수 있는 것

내용 요약
📌 실수령액 뜻 월급에서 세금 & 4대 보험 뺀 ‘순수 입금액’
📊 공제 항목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
💸 월급별 비교 200~1000만원까지 실수령액 & 공제율 전격 공개
🧠 절세 전략 비과세 수당 + 연금저축 활용법 총정리

💬 실수령액이 뭐길래?

"내 월급 300인데 왜 267밖에 안 나와?"
그 이유는? 각종 세금과 보험료가 빠지기 때문입니다.

실수령액 = 월급 – (소득세 + 지방세 + 4대보험)

📌 계산 기준 (2024년 기준)
- 부양가족 1인 (본인 포함)
- 비과세 수당 20만원
- 월 209시간 근무 기준

 

🔍 공제 항목 한눈에 보기

항목 세부 내용
국민연금 (4.5%) 월소득 × 4.5%, 최대 277,650원
건강보험 + 요양보험 실질 부담율 약 4.004%
고용보험 (0.9%) 실업급여, 육아휴직 급여 재원
소득세 누진세 적용으로 고소득일수록 부담 ↑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 월급 vs 실수령액 비교표

월급 총 공제액 실수령액 공제율
200만원 185,890원 1,814,110원 9.3%
300만원 325,790원 2,674,210원 10.9%
400만원 543,530원 3,456,470원 13.6%
500만원 789,550원 4,210,450원 15.8%
600만원 1,037,860원 4,962,140원 17.3%
700만원 1,367,190원 5,632,810원 19.5%
800만원 1,665,710원 6,334,290원 20.8%
900만원 1,968,010원 7,031,990원 21.9%
1000만원 2,345,060원 7,654,940원 23.5%

⚖️ 세금 부담률, 구간별 특징 요약

월급 구간 특징
200~300만원 소득세 부담 ↓, 4대보험이 핵심 공제
400~600만원 소득세 본격 시작, 실수령액 확 줄어듦
700만원 이상 소득세 비중 압도적, 국민연금 고정

💡 실수령액 늘리는 3가지 팁

① 비과세 항목 챙기기

항목 비과세 한도
식대 월 20만원
교통비 월 20만원
자녀 보육수당 월 10만원

② 소득공제 항목 활용

항목 연간 한도
연금저축 400만원 세액공제
청약종합저축 240만원 소득공제
신용카드 공제 총급여 25% 초과 사용분 일부 공제

③ 부양가족 등록으로 절세

  • 가족 1명 등록 시 월 8~15만원 절세
  • 부모님, 조부모, 형제자매도 가능 (소득 요건 충족 시)
키포인트 내용
공제율 200만원: 9.3% → 1000만원: 23.5%
실수령액 급변 구간 400~600만원
세금 비중 고소득일수록 소득세 ↑
절세 전략 비과세 + 연금저축 + 가족 등록


👉 실수령액 계산기 바로가기

 

반응형